식물 사진

토지稅 내는 ‘600살 富者 소나무’

석란 2009. 9. 28. 12:44

 

 

 토지稅 내는 ‘600살 富者 소나무’


경북 예천군 감천면 천향리 석평마을 김수칠 반장의 설명은 명쾌했다. “우리 집 담장이 경계입니다. 그래서 저 감나무까지 이어지고, 그 옆에 있는 기와집과 파란 함석지붕의 옆집, 그리고 쓰러진 기와집이 모두 석송령(石松靈)이 소유한 재산입니다. 물론 마을 회관이 들어선 자리도 그렇습니다.

김 반장의 안내로 소나무가 소유한 대지(垈地)와 집들을 둘러보았다. 피폐해진 농촌 현실을 반영이라도 하듯, 석송령 소나무가 소유한 세 채의 집들 중 겨우 한 채만이 사람이 살고 있었고, 나머지는 비어 있거나 쓰러진 채 방치되어 있었다. 한때 116호나 되었던 마을의 가구수가 절반인 60호로 줄어들어서 이렇게 빈집이 방치되고 있다는 김 반장의 부연 설명은 새롭지 않았다.

600여년 동안 이 마을을 지켜본 산 증인답게, 그리고 토지를 소유한 부자 나무답게 석송령 소나무는 멋진 위용을 자랑하고 있었다. 나무 높이 10m, 줄기둘레 4.2m, 사방으로 가지들이 펼쳐진 넓이가 동서 32m, 남북 22m로 그늘 면적만 300평이 넘는다. 이런 외모에다 소시민은 감히 엄두도 못 낼 1215평의 대지를 소유하고 종합토지소득세까지 납부하고 있으니 당당할만도 하다.

‘대나무 사이에서 시상이 떠오르고, 소나무 아래에서 도가 샘솟는다(詩思竹間得 道心松下生)’는 구절과 함께 이영복 화백이 소개한 송(宋)나라 한졸(韓拙)의 소나무 설명이 떠올랐다. “노하고 놀란 용과 같은 형세도 있고, 나는 용이나 엎드린 호랑이와 같은 형세도 있고, 몸을 거만한 자세로 구부정하게 취하는 듯한 형세도 있는데, 이 모든 형세는 소나무가 지닌 의표(儀表)이다. 그 형세는 천태만상이어서 그 변태로움은 이루 다 헤아릴 수조차 없다.” 이 모든 형상을 다 품고 있는 것이 바로 석송령 소나무임을 다시 깨닫는다.

석송령 소나무가 이 마을에 터를 잡은 사연은 600여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풍기에서 큰 물난리가 났을 때 석간천을 타고 떠내려 오던 어린 소나무를 지나가던 과객이 건져 심었는데, 그 나무가 자란 것이 바로 이 소나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 소나무가 ‘석평마을의 영험한 소나무(석송령)’란 이름으로 토지를 소유하게 된 사연은 보다 최근의 일이다.

지금부터 80여년 전 이 마을에 살던 이수목(李秀睦) 노인이 그의 소유 토지를 이 나무 명의로 기증하고 세상을 뜨자 주민들이 그의 뜻을 모아 1927년 등기를 함으로써 사람처럼 재산으로 소유한 나무가 되었고, 1982년에는 천연기념물 294호로 지정되어 일약 명목의 반열에 올랐다.

석송령을 보살피고, 또 그 재산을 실질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석송계의 김성호 총무를 만나 평소 가졌던 몇 가지 궁금증을 여쭈었다. 먼저 이 소나무에게 토지를 물려준 이수목 노인의 참 뜻이 무엇인지 물었다.

“이수목 노인에게는 후사가 전혀 없었던 것이 아니고 딸이 한 명 있었다. 만년에는 그 딸과 함께 경북 선산에서 살았으나 노인은 별세했고, 현재 딸만 살고 있다고 듣고 있다. 마을 사람들 누구도 이 노인이 소나무에게 재산을 물려준 참 뜻을 들은 바 없다. 막연히 아들이 없기에 나무에게 물려주었을 것으로 추측할 뿐이다. 마을에서는 그의 뜻을 기리고자 60세 이상의 노인들로 석송계를 조직해 매년 음력 정월 대보름에 석송령 앞에서 제사를 올리며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빈다. 그리고 석송령이 소유한 토지의 임대수입으로 이 노인의 묘소 관리와 제사를 지내고 있다. 석송령에게 재산을 물려준 덕분에 자손이 해야 할 일을 마을 사람이 맡아서 하고, 또 마을 화합에 튼실한 구심점이 되었으니 이 노인의 뜻은 마을이 존립하는 한 이어질 것이다. 그러나 이 소나무 덕분에 궁벽한 이 마을이 전국적으로 유명해졌다. 이런 사정을 감안하면 이 노인의 숨은 뜻을 충분히 헤아릴 수 있는 것 아니겠는가.”

이 내용은 나무나 숲을 살아 있는 유기체나 인격체로 인식했던 우리 조상들의 수목관에 근거를 둔 것이었다. 장관급 벼슬을 가진 정이품 소나무나 우량한 혈통을 보전하고자 삼척 준경릉에서 선발한 ‘한국 제일의 미인송(美人松)’이 석송령 부자 소나무와 함께 바로 살아 있는 사례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석송령이 소유한 토지로부터 얻는 수입은 많지 않다. 마을회관에서 운영하는 매점과 석송령 식당에서 매달 30만원씩, 주택 임대에서 매년 쌀 한가마로 1년에 약 500여만원의 수입을 얻는 셈이다. 석송령의 수입 일부는 관내에 다니는 중·고등학생들의 장학금으로 지급되었다. 그러나 재학생이 줄어든 오늘날에는 대학생에게 50만원의 장학금을 지급하지만 그나마 몇년에 한번씩 지급된다고 한다.

석송령 소나무는 사람과 나무와의 관계를 다시 한번 상기시켰다. 왜 우리들이 나무를 숭배하고 사랑하며 그들과 함께 살아가야 하는지를 석송령은 말없이 전하고 있는것이다.


<관광객의 출입금지는 석송령 소나무를 지키는 최고의 방책>

 지난 5∼6년 사이에 석송령의 주변환경이 많이 변했다. 석평마을 김반장께 그 사연을 물었더니 방문객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했다. 최근에 개장한 인근의 예천 온천과 중앙고속도로 덕분에 주말에는 1500여명의 인파가 몰린다고 한다. 그래서 군에서 주차장을 늘리고, 정자를 만들고, 나무 보호철책을 좀더 밖으로 넓혔다고 한다.
 그러나 많은 관광객들이 석송령 밑으로 거리낌없이 들락거리고 함부로 막걸리를 주고 있어서 걱정스럽다. 이런 행위는 나무에게 치명적이며, 석송령이 쇠약해진 원인의 하나일 수도 있다. 사람들의 빈번한 출입은 흙바닥을 단단하게 만들고, 다져진 흙속의 뿌리는 영양분이나 산소를 충분히 흡수할 수 없게 되어 나무는 차츰 쇠약해져 고사하고 만다. 문화재관리청이나 예천군은 생명문화유산인 석송령 소나무의 보호와 관리에 보다 각별한 관심을 가져달라고 부탁드리고 싶다.




'식물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산의 구절초  (0) 2009.10.10
메밀꽃과 작살나무 보랏빛 열매  (0) 2009.09.28
파타고니아의 야생화  (0) 2009.09.25
바오밥 나무 (A.digitata)   (0) 2009.09.25
해바라기와 가을   (0) 2009.09.24